Spring Initializer를 활용하여 스프링부트 기본 세팅을 해보자. https://start.spring.io/
Project
빌드 자동화 도구를 선택해주자. Gradle을 사용하였다.
Language
개발하는 언어를 선택해준다. 자바로 개발할거니 자바를 당연히 선택해준다. Kotlin + Spring 을 합쳐서 코프링으로도 많이 개발한다고 하네요!
Spring Boot
- PRE: 다음 GA버전의 핵심 기능들을 포함하는 버전입니다. 안정적인 버전이 아닐 수 있기에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Snapshot: 개발중인 버전이라 변경도 잦고 버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사용하진 않았습니다...
- GA(General Availability): 안심하고 써도 좋은 공개된 안정적인 버전입니다. 안정성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버전 내에서 변경사항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CURRENT: GA중 가장 최근의 버전입니다.
GA중 가장 최근 버전인 3.1.2 버전을 선택합니다.
Project Metadata
- Group: 보통 com.회사이름으로 하는데 그냥 아이디 pseudocode를 넣었습니다.
- Artifact: 빌드 결과로 나오는 산출물의 이름을 아티팩트라고 한다. '산출물' 기억하자.
- Package name: 패키지 이름
사실 MetaData를 제외하고 웬만한 건 거의 다 Default 설정되어있는 것만 따라가면 크게 문제 될 건 없다.
Dependencies는 CRUD 구현을 위한 Spring Web, Lombok, DB도 연결할거라 MySQL Driver를 설치했다. 그리고 나중에 JPA 연습할 것도 고려해서 Spring Data JPA를 넣었다. 개발 목적에 따라 필요한 의존성을 추가해주자.
Generate를 하면 zip파일을 야무지게 다운받을 수 있다.
build.gradle을 바로 실행하거나 IDE를 직접 실행시켜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빌드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니 다른 설정을 해주고 있자.
Build and Run 환경을 디폴트 설정인 Gradle에서 IntelliJ IDEA로 변경해주자! 최적화로 인텔리제이로 돌리는게 더 빠르다고 한다!
어노테이션 프로세싱도 켜주고...
마지막으로 resources의 application.properties를 .yml파일로 변경시켜주었다.
server:
port: 8000
spring:
application:
name: crud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db이름
username: 사용자이름
password: 비밀번호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참고자료: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07484/what-is-the-difference-between-springs-ga-rc-and-m2-releaseshttps://www.inflearn.com/questions/23403/artifact%EB%8A%94-%EB%AC%B4%EC%97%87%EC%9D%B8%EA%B0%80%EC%9A%94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스프링부트로 CRUD 구현 (0) | 2023.08.09 |
---|